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동성애는 낯설다.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여전히 15년 전에 커밍아웃 한 홍석천씨가 거의 유일한 동성애자로 기억되고 있을 정도이니 실제로 동성애자, 양성애자, 트랜스젠더와 같은 성소수자들을 보았을 때 느낄 당혹감은 얼마나 클까. 그렇다고 해서 당신의 주변에 이들이 없는 것은 아니다. 당신에게 말하지 않은 채로 당신의 이웃으로, 친구로 지내고 있다. 다만 커밍아웃 하지 않았을 뿐이다. 주변의 동성애자들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침묵을 지키며 벽장 속에서 지내는 가장 큰 이유는 분명하다. 우리사회 차별과 혐오의 시선 때문이다. 자신의 성적지향을 밝혔을 때, 평범한 일상에서 자신들의 사랑을 누리고자 할 때 마주할 격렬한 반응 때문이다.
시위는 어떻게 축제가 되었나
동성애는 일종의 근대적 신종 식별범주이다. 동성애에 관한 지식은 여타의 근대적 기획들과 마찬가지로, 그 의미와 대상에 있어서 다양한 주체들 간의 치열한 경합의 과정을 거쳐 형성된(구성된) 문화적 범주들의 담론적 효과라는 말이다. 동성애적 행위는 고대부터 있었으나 근대 이전에는 일시적인 일탈이나 일종의 유혹적인 행위로 여겨졌을 뿐 특정한 종류의 인간의 정체성을 규정짓는 특징은 아니었다. 동성애를 병리적인 것으로 규정한 의료담론이 발전한 시기, 동성애자를 정체성에 기반한 공통의 집단으로 가정하고 통제한 시기도 모두 20세기에 들어서서이다.
이 시기 인권운동가들은 동성애를 질환으로 규정한 정신의학적 관점에 도전하며 동성애자들의 정신적 고통은 전문가들의 정신의학적 개입이 아니라 정치적 개입으로 해결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동성애자들은 더 이상 이성애중심의 세상과 의료 전문가들에게 동성애자를 병리화 할 수 있는 권위를 허락하지 않았다. 대신 공적 영역에서 스스로의 이야기를 시작함으로써 사적인 수치심으로 치부되었던 이들의 감성을 하나의 존재 방식으로 공론화 시켰다. 이 같은 급진적인 인식론적 변화를 상징하는 사건이 1969년의 스톤월 항쟁이다.
스톤월 항쟁은 동성애자를 포함한 성소수자가 차별에 대응할 수 있는 주체로 거듭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가치로서 자긍심(Pride)을 일깨웠다. 자긍심의 발로는 이성애 중심 사회로부터 일방적으로 통제되어야만 했던 동성애자들이 자신들 스스로 존재를 드러내고 사회적 편견과 혐오에 맞서 싸우는데 드러내기를 주저하지 않은, 처음의 용기 있는 경험에서 기인한다. 스톤월에서 유래한 자긍심 퍼레이드(Pride Parade)는 차별과 배제로 소외된 동성애자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킬 뿐 아니라 사회의 인식 개선 및 성소수자 인권 보장을 당당하게 요구하기 위해 대로를 행진(parade)한다. 전세계 수많은 도시로 퍼져 진행되고 있는 자긍심 퍼레이드는 화려한 축제적 성격과 소수자 인권 증진을 요청하는 시위의 성격 모두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매년 자긍심 퍼레이드가 개최되고 있다. 처음 행사를 시작한 2000년 이후 지금까지 15년이 넘도록 이어진 이 축제는, 성소수자 뿐 아니라, 성소수자의 인권을 옹호하는 사람들과 지역민들 모두가 함께 서로를 긍정하고 축복하는 일종의 사회적 상견례와 같은 역할을 맡아왔다. 지난 6월, 서울과 대구에서 개최된 ‘퀴어문화축제’는 성소수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자신의 정체성을 긍정하고 드러내며 존엄과 인권을 요구하기 위해 자긍심 퍼레이드를 준비하였다. 동성애자 뿐 아니라 양성애자, 트랜스젠더 등 성소수자들은 이성애중심의 세상에서 쓰고 있던 방패와 같은 가면을 벗어놓고 진정한 자아를 대면하는 전환을 경험한다. 성적지향과 성별정체성을 근거로 차별이 난무하는 억압적인 세상에서 성소수자들은 일 년에 단 하루, 축제의 형식을 빌린 안전한 공간에서 진정한 자신을 열어 숨겨두었던 매력을 뽐낸다. 이 순간만큼은 자신의 몸과 섹슈얼리티에 대한 무한한 긍정이 허락된다. 이 날의 해방감과 자기긍정으로 얻은 자긍심을 기억하며 364일을 살아낸다는 자기고백이 이어지고, 끝난 후에는 사랑하지만 드러낼 수 없는 자아에 대한 지독한 상사병을 앓기도 한다.
이 때문에 성소수자들의 자긍심 퍼레이드에는 연민이나 동정이 들어설 여지가 없다. 혐오세력이 당황하는 지점이 여기다. 고통과 자기비하로 몸부림 쳐야 마땅한 이들이 실은 눈부신 자아를 가진 전인격이고 자기긍정의 에너지로 가득 차 있다면, 혐오와 비하의 언설을 하는 입과, 그들의 행복과 사랑에 참견의 지분을 요청하는 손은 그 대상을 잃고 허공을 휘저어야 할 테니까 말이다.
올해 서울, 자긍심 퍼레이드가 있는 날, 보수 기독교 세력들과 극우 보수주의자들은 조직적으로 행사를 방해했다. 이들은 선정적인 혐오와 저주의 언행을 쏟아내며 연중 단 하루뿐인 소수자의 날을 집요하게 방해하였다. 길바닥에 드러누워 퍼레이드 차량의 이동을 막았고, 통성기도를 빙자한 고성을 지르거나, 심지어는 불특정 다수에게 매질을 가하고, 욕설을 내뱉었다. 끔찍한 일은, 이름만 ‘세월호 추모 콘서트’로 붙이고, 실제로는 동성애 혐오 메시지만이 난무하는 집회를 열어 참사 피해자들과 유가족들, 그리고 상처 입은 시민들 모두의 슬픔을 수단으로 이용해먹는 사기극을 펼치기까지 했다는 것이다. 이 날 가면을 벗은 것은 성소수자들만이 아니었다. 혐오세력은 증오의 민낯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이들의 방해로 행사가 지연됐음에도 불구하고, 일 만 여명의 참가자들은 준비된 공연을 즐기면서 동시에 눈앞의 탄압과 혐오에 대항하는 즉석 피켓팅과 퍼포먼스를 하는 등 자긍심 퍼레이드 본연의 탄압과 혐오에 맞선 저항의 의미를 되새겼다. 그러나 지난 수년간 볼 수 없었던 후안무치한 폭력을 목도하는 것은 그 자체로 엄청난 트라우마가 아닐 수 없다. 성소수자에게 단 하루 허락된 안전한 공간마저 침탈해야만 했을까? 원색적인 혐오행동으로 그들이 얻는 것은 무엇인가?
죽도록 혐오하기?
글_김한나 : 연구집단 카이로스 연구원. 대학원에서 여성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관심은 섹슈얼리티와 종교, 교회의 가족중심성이다. 가족 혹은 남성과의 관계맺음 속에서만 여성에게 정상성과 여성됨을 허락하는 이성애중심주의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여성주의 운동과 공부를 병행하고 있다.
'필진 > 한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신교의 동성애 논쟁: 적대적/우호적 집단의 감정과 의례"(정원희)에 대한 토론문 (0) | 2014.09.30 |
---|